아임비타 멀티비타민 이뮨샷, 7회분, 5개

2025년 7월 2일 뉴욕 증시 마감 리포트 : 미-베트남 무역 합의 발표에 훈풍 지속

뉴욕 증시, 美-베트남 무역 합의 발표에 S&P 500 또다시 사상 최고치 기록

1) 뉴욕 3대 지수 마감 현황

2025년 7월 3일,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미-베트남 무역 합의 발표로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되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S&P 500지수는 29.41포인트(0.47%) 상승하며 6,227.42로 마감,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 반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10.52포인트(0.02%) 하락하며 44,484.42
  •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190.24포인트(0.94%) 상승하여 20,393.13으로 마감

이번 상승세는 미국과 베트남 간의 무역 협정 발표 덕분입니다.
특히 베트남산 수입품에 대한 고율의 관세가 대폭 완화되었기 때문에 미국과 베트남의 무역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만, 장 초반 미국의 고용지표 부진이 시장에 하락 압력을 줬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완화 발표가 심리를 되살리면서 주요 지수는 상승세로 전환되었습니다. 📈



2) 주가 지수 변동 요인

주요 주가 지수의 변동 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 첫 번째는 미-베트남 무역 합의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따라 베트남산 수입품에 20% 관세가 부과되는 내용이 포함되었는데, 이는 지난 4월 발표된 46% 고율 관세에서 대폭 완화된 수준으로,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습니다. 🇺🇸🤝🇻🇳

  • 두 번째는 미국의 고용지표 부진입니다.
    6월 민간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 부문 일자리는 3만3천명 감소하며 시장 예상치를 크게 하회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이는 고용시장의 약화를 나타내며, 시장은 이를 주의 깊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최근 1년 미국 비농업부문 고용 월별 변화 추이 그래프 (고용 상황이 좋지 못함을 시사)


3) 업종 및 주요 기업별 주가 동향

업종별로는 엇갈린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 에너지 섹터는 1.7% 상승,
  • 소재기술 분야는 각각 1.3% 상승하며 비교적 긍정적인 실적 기록
  • 반면, 헬스케어유틸리티 분야는 각각 0.9%, 0.8% 하락하면서 다소 부진한 흐름

주요 기업들 중에서는 테슬라2분기 차량 인도량이 전년 대비 14%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비공식 시장 전망치를 초과한 결과를 보여 4% 상승했습니다. 🚗📈
또한, 베트남에 생산 기반을 둔 미국 소매업체들의 주가는 무역 합의 소식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고,

  • 나이키4% 상승웨이페어8% 상승온홀딩2% 상승
  • 반면, 센틴의 주가는 40% 급락했습니다. 

건강보험 거래소 사업 부진을 이유로 2025년 실적 가이던스를 철회했기 때문인데, 이는 예상보다 더 큰 실적 부진을 시사하는 결과였습니다.


4) 금리 및 주요 경제 지표 분석

경제 지표 측면에서 6월 민간 고용보고서부진한 결과가 주요 이슈였습니다.
민간 부문 일자리3만3천명 감소하며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하회했으며, 이는 미국 경제의 성장 둔화 우려를 낳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부진한 고용지표는 연준의 금리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

시장에서는 6월 비농업 부문 고용지표 발표를 더욱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시장은 11만 명 증가를 예상하고 있는데, 만약 이 수치마저 부진하게 나온다면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CME 그룹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7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전일 20.7%에서 이날 23.3%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


5) 주요 연준 이사 및 전문가 의견

연준의 정책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주로 고용 지표와 관련이 있습니다. 

CFRA리서치샘 스토벌 수석 전략가는 고용지표가 부진하게 나오면, 연준이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로스 메이필드 베어드 투자 전략가는 최근 몇 달간 고용시장의 약화가 지속되었고, 이번 고용 지표가 연준의 정책 방향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연준 의장 파월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없었다면 이미 금리를 인하했을 것"이라고 발언한 바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금리 인하 논의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고용지표가 연준의 금리 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


6) 결론 및 시사점

2025년 7월 3일, 뉴욕증시는 미국과 베트남 간의 무역 합의 발표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S&P 500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나스닥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고용지표 부진과 같은 부정적인 경제 지표가 여전히 시장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시장은 연준의 금리 정책고용지표를 중요한 변수로 삼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7월 중 발표될 비농업 부문 고용지표에 따라 시장의 흐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번 시황은 무역 합의고용지표, 금리 인하 가능성 등 여러 변수가 얽혀 있어 시장의 방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위 글은 투자 자문이 아닌 일반 시황 해설이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독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쿠팡 루테인

프로메가 오메가3 트리플, 60정,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