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재무 정책이 다시 한 번 금융시장을 흔들고 있어요. 바로 ‘행동주의 국채 발행(ATI, Activist Treasury Issuance)’이라는 정책 때문인데요. 이 정책이 미국뿐 아니라 일본과 영국까지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전 세계 금융 시장에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
행동주의 국채 발행(ATI)이 뭐길래? 💵
행동주의 국채 발행(ATI)은 쉽게 말해 정부가 장기 국채 발행을 줄이고 단기 국채 발행을 늘리는 방식으로 장기 금리 상승을 억제하려는 정책이에요.
미국 바이든 행정부 시절, 재닛 옐런 재무장관이 처음으로 이 방식을 활용해 장기물 국채 수익률 상승을 누르려 했습니다.
이것은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는 방식의 '양적완화(QE)'를 우회적으로 흉내 낸 것과 비슷한데요. 그래서 "뒷문 양적완화"라는 별칭도 붙었답니다. 😅
하지만 이런 방식은 통화정책의 독립성을 침해하고, 물가 안정이라는 중앙은행의 역할을 약화시킬 수 있어 많은 경제 전문가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어요.
![]() |
ATI 정책의 위험성을 경고한 닥터둠 루비니 교수 |
닥터 둠의 경고: “좋아 보이지만 위험하다” 🧠
월가의 ‘닥터 둠’으로 불리는 누리엘 루비니 교수는 ATI 정책이 단기적으로 경기를 안정시켜주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훨씬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2025.6.4일자 영국 파아낸셜타임즈 칼럼)
예를 들어, 정부가 ATI를 통해 금리 상승을 억제하면 부채 부담이 줄어들어 단기적으로는 경제가 살아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이것이 반복되면 시장은 "정부가 또 개입할 테니까 괜찮겠지"라는 식으로 도덕적 해이에 빠지게 되고, 위험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결국 자산 거품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ATI는 왜 통화정책에 위험한가요? 🏦
ATI는 통화정책의 가장 큰 적이 될 수 있어요.
중앙은행(Fed)은 물가 안정을 위해 기준금리를 조절하고 있는데, 재무부가 ATI로 몰래 금리를 낮춰버리면 이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수 있어요.
시장에서는 ATI가 마치 연준이 기준금리를 1%포인트 내린 것과 비슷한 효과를 준다고 보고 있어요. 😲
이런 식의 몰래 양적완화는 결국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신뢰성을 해치게 되고, 이로 인해 정책 효과가 왜곡될 수밖에 없습니다.
일본도 ATI 도입? 장기물 국채 발행 줄이는 일본 재무성 🗾
놀랍게도 ATI는 미국에서만 벌어지는 일이 아니에요. 일본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어요.
일본은 공공 부채가 GDP의 250%에 달할 만큼 막대한데요.
여기에 장기 국채 수익률이 오르자 일본 재무성은 장기물 국채 발행을 줄이고 단기물로 돌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해요.
일본은행(BOJ)은 쉽게 양적완화를 재개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결국 재무부가 시장 개입에 나서는 모습이죠. 일본판 ATI가 현실화되는 중입니다. ⛩️
다음 타자는 영국? 불안한 재정 상황 속 ‘ATI 유력 후보’ 💷
루비니 교수는 미국과 일본에 이어 영국이 다음 ATI 대상국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어요.
영국은 재정 건전성에 대한 불안이 지속되고 있고, 유럽중앙은행(ECB)처럼 국가 간 스프레드 조절 장치가 부족하기 때문에 ATI 같은 우회적 방법으로 금리 통제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에요.
즉, 불안정한 나라일수록 ATI의 유혹은 커지고 있는 셈이죠. 🕳️
왜 위험할까? ATI가 불러올 3가지 문제점 ⚠️
ATI가 가진 주요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어요:
1. 통화정책과의 충돌중앙은행이 브레이크를 밟는 와중에 재무부는 엑셀을 밟고 있는 셈이에요.
이로 인해 물가안정이라는 목표가 흐트러질 수 있어요.
2. 도덕적 해이 & 자산 거품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면, 투자자들은 더 큰 리스크를 감수하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결국 자산시장은 과열되고, 버블로 이어질 수 있어요.
3. 정치적 경기 조작 우려
선거를 앞둔 정부가 경제를 일시적으로 띄우기 위해 ATI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문제예요.
경제정책이 정치 논리에 휘둘릴 위험이 있는 거죠. 🗳️
루비니 교수의 경고: “지금은 엑셀을 밟을 때가 아니다” 🧯
루비니 교수는 ATI가 결국 더 큰 인플레이션과 금융 불안을 불러올 수 있다고 강하게 비판해요.
지금은 인플레이션이라는 불길을 잡아야 할 시기인데, 재무부가 뒤에서 부채를 늘리며 열을 더하고 있는 셈이라는 거죠.
이대로 가다간, 통화당국과 재정당국의 충돌로 인해 신뢰도 자체가 무너질 수 있어요. 😓
백악관은 이제라도 ATI 정책의 위험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때입니다.
마무리: ATI, 정말 ‘좋은 의도’일까? 🤔
행동주의 국채 발행(ATI)은 언뜻 보기에는 장기 금리 상승을 막고, 경기를 부양하는 좋은 도구처럼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그 속에는 통화정책 훼손, 시장 왜곡, 자산 거품, 인플레이션 재점화 같은 수많은 리스크가 숨어 있어요.
중앙은행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지금, 정부가 몰래 양적완화를 시도하는 건 신중히 재고할 문제입니다.
우리 모두가 이 흐름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때입니다. 👀📉